-
타운하우스 분쟁, 해결사례부동산 법률정보 2023. 10. 19. 18:23
1년 전 쯤, 용인시 내 타운하우스 계약 분쟁에 대해 다룬적이 있다.
타운하우스 / 전원주택 분양계약 시 유의점
통상적인 분양계약과 달리, 최근 경기도 등지에서 분양하는 '타운하우스'를 분양받을 때는 법적...
blog.naver.com
이때, 의뢰인들은 (사실상) 시행사라 불리는 건축업자들의 과장된 홍보에 속아 계약을 했지만, 계약하고 나서 보니 -시행을 주관하는 사람은 수분양자들이고, - 시행사는 단순 분양대행사로 되어 있으며 - 수분양자들이 토지 및 건축담보대출금으로 분양대금 전액을 충당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형식이었다.
문제는 계약금 10%를 넣는 즉시 토지 100%의 소유권을 수분양자에게 이전하고, 위 시행사는 그 토지에 대해 100~1000% 근저당권을 설정해 사실상 무의미한 소유권을 수분양자에게 넘겨놓는다.
이렇게 한 뒤, 그 대출금으로 분양사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자기 이름으로 토지명의를 해놓은 뒤, 사업을 수분양자가 하는 것처럼 꾸미고, 모든 대출과 분양사업의 승패 리스크를 수분양자가 지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이것만 성공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공기 좋은 곳에서 행복하게 살게 된다. 다만 이것이 지닌 문제점이 무한하다는 것이다.
시행사는 수분양자의 신용때문에 대출이 안 나왔다거나, 건축비가 상승했다며 추가적인 분양대금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우리는 분양계약을 사기 등을 이유로 취소하는 소장을 작성 제출하였고, 시행사의 부당성을 정확하게 지적했다.
시행사의 기망성을 자세히 지적
이러한 주장에 대해 시행사는 대출이 불가능해지고 건축비용이 부족하게 된 것은 오로지 수분양자의 신용때문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이 주장 역시 부당하다는 점을 바로 지적했다.
피고(시행사)는 사실조회 회신을 하겠다고 하였다. 그 금융기관에서 원고의 신용상태 때문에 대출이 불가능하였다는 것을 입증하겠다고 나왔다. 일단 그 금융기관이 시행사와 유착되었을 수 있다고 걱정했기 때문에, 기다려보았다.
그런데 답변이 왔는데, 우리가 주장한 내용이 맞다는 취지가 기재돼 있었다.
피고는 당황했는지 기일변경 신청을 하더니, 결국 우리가 주장하는 금액 전부(계약금 및 위약금 전액)을 지급하되, 분할로 지급하겠다고 합의요청을 해왔다.
판결을 받지 못하고 중간에 종결되었지만, 그것이 의뢰인에게는 분쟁을 조기에 종결시키는 해결책이기도 하다. 압도적 승소로 마무리된 타운하우스 사건은 이러한 종류의 부동산에 투자하는데 유의할 점을 깊게 새겼다고 할 수 있다.
[정재기 변호사 직통번호]
010-5300-3092
**재판 등 외부 업무로 통화가 어려운 경우 문자를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상담문의]
02-582-2003
[자료 보내실 곳]
jack@btlaw.co.kr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50길 35, 10층
'부동산 법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분쟁 시 상대방 내용증명을 수령해야 될까? (0) 2023.11.01 임대차 계약 갱신 또는 거절이 하고 싶을 때 연락이 되지 않는다면? (2) 2023.10.30 전세사기피해자결정과 경매유예 신청 (0) 2023.10.25 임대차 갱신기간 종료된 후 바뀌는 예비임대인의 갱신거절 가부 (1) 2023.10.23 전세사기 피해 입은 상황이라면 ‘이렇게’ 대처하세요! (1) 2023.10.17